여행방

[스크랩] (0117)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DRAGON 2011. 10. 23. 16:52
♡ (0117)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 남한산성 개요
남한산성 http://www.namhansansung.or.kr/index.jsp 남한산성은 보통 인조(조선시대)의 굴욕을 떠올리는데, 이 성은 삼국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때부터 한강 방어의 전략적 요충지이다. 인조는 후금의 침공으로(1636년) 남한산성으로 피신을 하게 되는데, 성 안으로 들어갈 때는 남문(정문)으로 들어갔지만, 굴욕을 당하는 시점에는 남문이 아니 라 서문으로 나왔다. 굴욕을 당한 지점이 송파나루 삼전도이다. 맑은 날에는 수어장대(임금 호위 장군 지휘소)에서 석촌호수에 있는 삼전도를 볼 수 있다.
1 남한산성 안내도 2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3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4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5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6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7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8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9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10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11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12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13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14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15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16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17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18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19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20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21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22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23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24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25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26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27 남한산 숭렬전 [崇烈殿]5 28 남한산 숭렬전 [崇烈殿]7 29 남한산 숭렬전 [崇烈殿]8 30 남한산 숭렬전 [崇烈殿]10 31 남한산성 남문 32 남한산성 망월사 33 남한산성 망월사 전경 34 남한산성 북문 35 남한산성 서문 전경 36 남한산성 서문 측면 37 이 서문으로 인조가 걸어 나가 송파 나루에서 청황제에게 무릎을 꿇었다 38 남한산성 성 밖상출구 39 남한산성 성내 비상출구 40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41 남한산 숭렬전 [崇烈殿] 42 남한산 숭렬전 [崇烈殿] 43 남한산 숭렬전 [崇烈殿] 44 남한산 숭렬전 [崇烈殿] 45 남한산 숭렬전 [崇烈殿] 46 남한산성 성벽 47 남한산성 성벽 경사지 48 남한산성 수어장대 매바 49 남한산성 수어장대 측면 50 남한산성 역사관 51 남한산성 역사관 52 남한산성 영월정 53 남한산성 영월정 54 남한산성 영월정 55 남한산성 영월정 56 남한산성 영월정 57 남한산성행궁지 58 남한산성행궁지 59 남한산성행궁지 60 '무망루' - 이 치욕을 잊지 말자는 의미
'역사는 반복된다. 수단이 바뀔 뿐이다' 조선시대 중기와 후기 시대는 '역사에서 배우지 못한 시기이다' 임진왜란에서 배우지 못해 정유재란이 발발하고, 정유재란에서 또다시 배우지 못해 병자호란이 발생한다. 병자호란에서 배우지 못해 일제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61 수어장대 [守禦將臺] 62 수어장대 [守禦將臺] 63 이배재 고개 64 청나라 칸은 인조에게 문장으로 말했다 65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66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67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68 남한산성 꽃길 69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70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71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72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73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74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75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76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77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78 경기도 도립공원 남한산성 79 남산골 한옥마을 해풍부원군 윤택영댁 재실전경 80 이 이 문을 통해서 들어왔다(남문) 81 남한산성 남문 성벽 82 수어사(임금 호위지위소 ) 정공 83 수어장대(임금 호위 장군 지휘소) 84 인조대왕이 이 문을 통해서 들어왔다(남문) 85 수어장대 바로 밑에 있는 암문(샛문) - 밖에서 안으로 86 암문(샛문) - 안에서 밖으로 87 수어장대 내에 있는 남한산성 증축자에 대한 애환이 서려 있는 바위 88 '수어서대' 89 '무망루' - 이 치욕을 잊지 말자는 의미 90 1890년대(고종) 측량 기준 장소 91 남산골 한옥마을 92 남산골 한옥마을 순정효 황후친가-밖으로 93 남산골 한옥마을 순정효 황후친가전 94 남산골 한옥마을 여 95 남산골 한옥마을 오위장 김춘영 가옥 96 남산골 한옥마을 해풍부원군 윤택영댁 재실 오후 11:28 2008-08-13(수) "오동나무" 올림

배경음악 : 국악 명상음악-휴식 2집-가야금 대금 얼후


출처 : 오동나무
글쓴이 : 오동나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