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시화문(口是禍門)
입(口)이란 무엇인가?
입은 음식물이 들어가는 입구이다.
입을 통해서
밥도 먹고
과일도 먹고
고기도 먹고
술도 마신다.
음식물이 입에 들어가야
사람은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고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사람이 먹는 음식물이
어디서 왔는가를
따져보면
땅(地)에서 나온
것 들이다.
인간이 먹는 음식물이란
땅의 지기(地氣)를 받고 자란
것 들이다.
이렇게 보면
입은 지기(地氣) 가
들어 가는 곳이다.
![Christopher Cart Tutt'Art@ (59) (664x700, 488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1.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51_Christopher_Cart_TuttArt__59_.jpg)
그러면
천기(天氣)가
들어가는 곳은 어디 일까요?
바로 코(鼻)입니다.
사람은 코를 통해서 산소를
흡입 한다.
산소는 바로 천기가 아닌가!
![Christopher Cart Tutt'Art@ (34) (555x700, 416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0.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66_Christopher_Cart_TuttArt__34_.jpg)
천기를 흡입하는 코와
지기(地氣)를 섭취하는
입의 사이에
있는 부위가 바로
인중(人中)이다.
사람의 가운데란 뜻이다.
이 부위가 인중(人中)이라는
이름이 된이유는
천기와
지기의 중간이기 때문이다.
![Christopher Cart Tutt'Art@ (52) (695x700, 565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0.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56_Christopher_Cart_TuttArt__52_.jpg)
또 다른 이유는
인중 위쪽 으로는 구멍이
2개씩이다.
콧구멍도 2개, 눈도 2개,
귓구멍도 2개이다.
2라는 숫자는 동양의
상수학(象數學)에서
음(陰)을
상징한다.
![Christopher Cart Tutt'Art@ (51) (700x472, 383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1.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57_Christopher_Cart_TuttArt__51_.jpg)
그런데 인중 밑으로는
구멍이 1개씩이다.
입도1개, 배꼽도1개, 항문도1개,
요도(尿道)도1개,
산도(産道)도1개다.
![Christopher Cart Tutt'Art@ (57) (700x602, 557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0.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52_Christopher_Cart_TuttArt__57_.jpg)
1 이라는 숫자는
양(陽)을 상징 한다.
또한 2는
즉 음은 많이 쓰라는 것이다.
냄새 잘 맡아보고
열심히 살펴보고
잘 귀담아 들어야하고,
1개는 아껴쓰고
조심해야 한다는 것이다.
![Christopher Cart Tutt'Art@ (50) (700x467, 396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0.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58_Christopher_Cart_TuttArt__50_.jpg)
인중을 중심으로 위로는 음이,
아래로는 양이
배치 되어있는 상황이다.
여기서
입의 위치를 다시 살펴보면
인중 아래로 양(陽)이 시작되는
지점이다.
인체의 양(陽)은 입에서부터
비롯 된다.
![Christopher Cart Tutt'Art@ (39) (609x700, 405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0.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64_Christopher_Cart_TuttArt__39_.jpg)
달리 표현하면
인간 만사가 입에서 부터
시작된다는 의미다.
입에서 먹을 것과,
복도 들어 오지만
화(禍)도
들락거리는 문(門)이다.
![Christopher Cart Tutt'Art@ (10) (320x700, 293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0.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88_Christopher_Cart_TuttArt__10_.jpg)
말을 잘못하면 재앙이
들어온다.
그래서 구시화문(口是禍門) 이라는
말이 나왔다.
입은 화(禍)가 들어오는
문(門)이라는 의미이다.
![Christopher Cart Tutt'Art@ (33) (648x700, 487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1.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67_Christopher_Cart_TuttArt__33_.jpg)
고금의 역사를 보면 말로 인해서
재앙이 초래된 경우가 많다.
심심창해수(心深滄海水)
구중곤륜산(口重崑崙山)이라는
말이 있다.
"마음 씀씀이는 창해수처럼
깊어야 하고
입은 곤륜산 처럼
무거워야 한다"
라는 말이다.
![Christopher Cart Tutt'Art@ (31) (469x700, 332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0.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68_Christopher_Cart_TuttArt__31_.jpg)
“口是禍之門(구시화지문)”이란?
“입은 재앙을 불러들이는
문이다.”
라는 뜻으로
전당서(全唐書) 설시편(舌詩篇)에
나오는
한 구절입니다.
당나라가 망한 뒤의
후당(後唐)때에
입신하여
재상을 지낸 풍도(馮道)라는
정치가가 있었습니다.
![Christopher Cart Tutt'Art@ (64) (700x520, 383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1.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47_Christopher_Cart_TuttArt__64_.jpg)
그는 五朝八姓十一君
(오조팔성십일군)을 섬겼는데,
다섯왕조에 걸쳐,
여덟 개의 姓을 가진,
열한 명의 임금을 섬겼다는 말이니
그야말로 처세에 능한
달인이었습니다.
풍도(馮道)는 자기의
처세관(處世觀)을
아래와 같이
후세인들에게 남겼습니다.
![Christopher Cart Tutt'Art@ (58) (700x692, 628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1.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45_Christopher_Cart_TuttArt__58_.jpg)
口是禍之門(구시화지문) :
입은 재앙을불러 들이는 문이요!
(舌是斬身刀)설시참신도:
혀는 몸을 자르는 칼이로다.
(閉口深藏舌)폐구심장설 :
입을 닫고 혀를 깊이 감추면,
(安身處處宇)안신처처우 :
가는 곳 마다 몸이 편안하리라.
![Christopher Cart Tutt'Art@ (60) (695x700, 437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0.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50_Christopher_Cart_TuttArt__60_.jpg)
풍도(馮道)는
인생살이가
입이 화근(禍根)임을 깨닫고
73세의 장수를 누리는 동안
입조심하고 혀를 감추고
말 조심을
처세의 근본으로 삼았기에
난세에서도
영달을 거듭한 것입니다.
![Christopher Cart Tutt'Art@ (63) (700x459, 441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0.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48_Christopher_Cart_TuttArt__63_.jpg)
고사성어 중에
守口如甁(수구여병) :
입을 병마개 처럼 지킨다.
禍生於口(화생어구) :
화는 입에서 생긴다.
駟不及舌(사불급설) :
네 마리의 말이 끄는 수레의 힘도
혀에는 미치지 못한다!
![Christopher Cart Tutt'Art@ (29) (507x700, 399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1.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69_Christopher_Cart_TuttArt__29_.jpg)
禍從口出(화종구출) :
화는 입으로부터 나오고,
病從口入(병종구입) :
병은 입으로 부터 들어간다. 등등
동서고금을 통하여
헤아릴 수가 없을 겁니다.
![Christopher Cart Tutt'Art@ (23) (491x700, 346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0.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74_Christopher_Cart_TuttArt__23_.jpg)
말 한마디로
이 세상은
남이 되고 이혼하고
원수가 되고
전쟁을 합니다.
입을 조심하고, 혀를 조심하고
말을 삼가 하라는 것은
인간 세상이 존재하는 한 유구한
진리일 것입니다.
![Christopher Cart Tutt'Art@ (49) (700x453, 314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1.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59_Christopher_Cart_TuttArt__49_.jpg)
입 조심이 얼마나 어려우면
이렇게 오랜 세월에도
계속 이어 질까요?
심신(心身)이 편안한 삶은
곧 말을 삼가 하는 것
이랍니다.
![Christopher Cart Tutt'Art@ (28) (525x700, 346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0.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70_Christopher_Cart_TuttArt__28_.jpg)
4.5와 5가 있었는데
5는
4.5를 이유없이
못살게 굴었습니다.
그러다 4.5와 5가 대판 싸웠습니다.
누가 이겼을까요?
![Christopher Cart Tutt'Art@ (27) (618x700, 461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1.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71_Christopher_Cart_TuttArt__27_.jpg)
당연히 0.5가 많은 5가
이겼습니다.
그 후부터 5는 4.5를
계속 괴롭혔고,
4.5는 5앞에만 서면 늘
기가 죽고 주눅이 들었습니다.
![Christopher Cart Tutt'Art@ (26) (700x699, 391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0.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72_Christopher_Cart_TuttArt__26_.jpg)
그러던 어느 날....
5가
4.5에게 커피를 타오라고
심부름을 시켰고,
평소 같았으면 쪼르르 달려가
커피를 타오 던 4.5가
빳빳하게 서서 5에게 말했습니다.
![Christopher Cart Tutt'Art@ (22) (466x700, 400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1.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75_Christopher_Cart_TuttArt__22_.jpg)
"야!! 니가 타먹어!!"
순간 주위에 있던 숫자들이
긴장 했습니다.
난폭한 5가 어떻게 나올지
몰랐기 때문이였습니다.
불안을 느낀 2와 3이 얼른 나서서
4.5를 말렸습니다.
![Christopher Cart Tutt'Art@ (20) (467x700, 338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1.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77_Christopher_Cart_TuttArt__20_.jpg)
"야!! 너 왜 그래?~"
그러자 4.5가 웃으며 당당히
말했습니다..
“나 점뺐어”
4.5가 점을 빼고 45가 되었으니
5에게 더 이상 굽신거릴
필요가 없게 된 것입니다.
![Christopher Cart Tutt'Art@ (16) (467x700, 382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0.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80_Christopher_Cart_TuttArt__16_.jpg)
사람이라면 누구나 4.5가
가진점( • )과 같은
문제점들을
다 가지고 있습니다.
그 점 하나 때문에 삶이 힘들고,
행복하지 못한 경우가
있습니다.
![Christopher Cart Tutt'Art@ (18) (467x700, 335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0.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78_Christopher_Cart_TuttArt__18_.jpg)
그 점이....
어떤 이에게는 물질의 문제~
어떤 이에게는 건강의 문제~
어떤 이에게는 인간관계의 문제~
어떤 이에게는 과거의 상처일
수 있습니다.
![Christopher Cart Tutt'Art@ (14) (364x700, 278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1.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87_Christopher_Cart_TuttArt__14_.jpg)
당신은 지금
어떤 점 때문에
힘들어 하고 있습니까?
마음 안에 있는 점 ( • )을
확!! 빼버리고..
당당하게 멋지게 살아가는
우리가 되었으면 합니다~ Artist : Christopher Cart
![Christopher Cart Tutt'Art@ (7) (500x494, 248Kb)](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0.liveinternet.ru%2Fimages%2Fattach%2Fc%2F11%2F116%2F64%2F116064992_Christopher_Cart_TuttArt__7_.jpg)
우리 님들~!
健康조심하시고
親舊들 만나
茶 한잔 (소주한잔)나누시는
餘裕롭고 幸福한
나날 되세요~^
|